내년부터 '만 나이'가 도입되면서 전 국민이 최대 2살까지 어려질 예정입니다. 평생을 한국식 나이로 계산하다가 갑자기 만 나이가 도입되면 불편하지 않을까 걱정되시나요? 그렇다면 만 나이 계산법과 만 나이가 도입되면 달라지는 점들을 살펴보겠습니다.
목차
만나이 시행 시기
현재 한국에서는 주민등록상의 나이, 만 나이, 한국식 나이(연 나이)를 사용 중입니다. 보통 국제적으로는 만 나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국사람들에게는 한국식 나이가 혼란스러웠을 것입니다. 우리나라에서도 행정적인 절차나 법률상의 일을 처리할 때는 만 나이가 사용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빠르게 나이를 계산할 수 있다는 편의성 때문에 태어난 해부터 1살로 세는 한국식 나이가 사용되고 있었습니다. 따라서 이러한 차이에서 발생하는 불편 사항을 줄이고자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'만 나이 도입'이 이번 달 7일 국회 법사위에서 의결되어 8,9일에 국회 본회의를 거쳐 통과될 것으로 보입니다. 보통 개정안은 공표 6개월 뒤부터 시행되기 때문에 2023년 6월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.
만 나이 계산 방법
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만 나이는 출생일을 기준으로 0살부터 시작하여 만 1년이 지나면 1살씩 늘어나게 됩니다. 민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따르면 나이 계산 시에 출생일을 포함하고 만 나이로 표시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. 또한 갓난아기의 경우 출생 후 만 1년이 지나지 않았을 때는 개월 수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만 나이가 도입되면 바뀌는 만 나이 계산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빼면 나의 만 나이가 됩니다. 생일이 지났으면 계산한 숫자 그대로가 나의 만 나이이고,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나이에서 다시 1을 뺍니다.
① 생일이 지난 경우 : 현재 연도 - 출생 연도 = 나의 만 나이
예 ) 출생일이 1995년 3월 24이고 현재일이 2022년 12월 8일인 경우, 2022-1995 = 27 즉, 27살이 됩니다.
②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: 현재 연도 - 출생 연도 - 1 = 나의 만 나이
예 ) 출생일이 1995년 12월 25일이고 현재 일이 2022년 12월 8일인 경우, 2022-1995-1=26 즉, 26살이 됩니다.
계산 과정이 복잡하다면 네이버나 다음 등 포털사이트에서 '만 나이 계산기'를 사용하면 더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
만 나이 도입 시 달라지는 점
- 태어난 해 보다 생일이 더 중요해짐 : 같은 해에 태어났다 하더라도 생일에 따라 나이가 달라짐
- 직장 임금피크제 적용 연령 : 현재 노사 단협에서는 연 나이, 대법원에서는 만 나이 적용
- 자동차 보험 연령 한정 특약 : 현재 약관 상으로는 만 나이이지만 가입 시에 별도의 설명이 없어 혼란 발생의 여지 있음
- 백신 접종 나이 :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의료 현장에 따라 연 나이와 만 나이를 혼용하여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통일
- 병역 의무 이행 기준 연령 : 현재 병역법에 연 나이 적용하고 있으므로 만 나이로 변경 예정
- 청소년 유해 업소 기준 연령 : 현재 청소년보호법상 연 나이로 적용하고 있음
- 행정, 의료서비스 제공에서 만 나이로 통일
- 국제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 사전 예방
- 각종 계약 시 나이 해석에 관한 갈등의 여지가 사라짐
- 회사 정년 나이 해석에 대한 갈등이 사라짐. 더불어 최대 2년 미뤄질 가능성 있음
- 소득세법 기준 날짜
- 공중 위생 관리법 : 목욕탕 이성 출입 가능 연령 수정
- 음력 생일 사라질 가능성 : 양력 생일 기준에 따라 음력 생일의 중요성 낮아짐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센스 있는 생일 축하 문구 메세지, 이미지 모음 (0) | 2025.03.13 |
---|---|
입학 축하 문구 메세지 이미지 모음 (0) | 2023.01.21 |
겨울철 자동차 관리 방법 (feat. 타이어 적정 공기압) (1) | 2022.12.03 |
보일러 종류별 난방비 절약 방법 (0) | 2022.12.02 |
크리스마스 홈파티 메뉴 추천 (0) | 2022.12.01 |